본문 바로가기
관리자

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이론 기초 -2. L2 Layer - NIC, Access, Distribution Switch, LAN/WAN

728x90
반응형

 

 

1. NIC(Network Interface Card)

흔히 랜카드(Local Area Network Card)라고 부르는 장비이다. 전문 영역에서는 ''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라고 한다. H/W 이므로 MAC 주소를 갖는다. 그리고 네트워크 도식상에서는 아래처럼 점으로 찍어서 표현된다.

 

NIC 그림

 

넥스트 - 2.5기가비트 PCI 이더넷 랜카드

 

네트워크 영역 단위

WAN(Wide), MAN(Metropolitan), LAN(Local) 순으로 네트워크를 구분한다.

 

랜카드 속도

1 Gbps 로 표시되는데, b가 소문자임에 유의해야한다. bit이지 Byte가 아니기 때문에 흔히 사용하는 1GB 대비 1/8 수준임을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참고로 10 Gbps급도 있는데, 이런 경우 케이블이 광통신 케이블(Optical fiber)로 되어있다.

 

 

2. L2 Access Switch

 

L2 Access라고 부르는 이유는 DoD 분류에서 Network Access단을 참조하기 때문이다. PC와 같은 End-point와 랜케이블 등으로 직접 연결되는 스위치이다.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한다. 아래 사진상 랜선을 연결하는 곳을 Interface 또는 Port라고 부른다. 만약 24개의 port가 있으면 24 port 허브, 24 port 스위치 등으로 부른다.

ipTIME 24포트 기가비트 스위칭허브

 

L2 Swtich 연결 그림

 

 

용어 점검

L2 Access까지 잘 연결되어 초록불이 들어오면 Link-up, 연결이 안되서 주황불이 들어오면 Link-down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그리고 스위치에서 상위 다른 라우터로 연결되는 것을 Up link라고 부른다.

 

L2 Distribution Switch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이다. VLAN(Virtual LAN)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L2, L3 네트워크 구성도

 

 

앞서 설명한 스위치들은 대략 L2 Access Switch는 사무실 등에서 방 1개(대충 24개), 상위 Distribution Switch는 건물의 1개 층에, 더 상위의 Router는 건물 1개 정도라고 알고 있으면 된다. Access switch는 10만원 정도, Distribution Switch는 수십만원~100만원 정도, 라우터(L3 Switch)는 수백만원 이상대이다.

 

 

 

3. BroadCast

 

BroadCast는 네트워크 전반에 패킷을 전달하는 통신 방법이다. 반대되는 개념은 Unicast라고 부른다.


BroadCast는 구성된 네트워크 전체에 통신하는 방법이므로 네트워크 효율을 떨어뜨리고 노이즈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설정하고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1개의 컴퓨터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해버리면 해당 브로드캐스트 통신이 끝날 때까지 전체 컴퓨터가 통신을 못하게 된다.

 

그래서 위 도식에서 만약 가능하다면 1개의 L2 Access switch 연결된 컴퓨터 3대에만 브로드캐스트가 되도록 L2 Distribution switch 단에서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러면 다른 L2 Access switch에 연결된 컴퓨터들로는 브로드캐스트 요청이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반대로 반드시 모든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를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통신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보통은 특정 IP 주소 범위를 브로드캐스트 범위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MAC, IP 주소 모두에서 BroadCast라는 특별한 주소가 존재한다. 브로드캐스트의 네트워크 전체 통신의 개념과, 이진수상 1111(FF) 등으로 모든 비트를 true로 만드는 개념을 혼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MAC에서는 FF-FF-FF-FF-FF-FF(MAC은 48비트이므로 8비트 6개)로 표현한다(목적지 MAC 주소 기준).

 

 

4. LAN과 WAN: 가상화

앞서 배웠던 LAN과 WAN을 추상화, 가상화의 관점에서 이해해본다.

 

아래 그림처럼 OSI 7 Layer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을 써본다. Ethernet은 물리계층에 속하므로 MAC 주소를 갖고 이 부분이 LAN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이렇게 생각해본다. 랜선의 굵기, 랜선 링크 업/다운 등 물리적인 계층이 LAN인 것이다.

 

다음으로 Logical한 부분은 IT에서 Virtual하다고도 많이 표현한다. 따라서 Internet이 있는 WAN은 논리적이다. 가상이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이것도 명확한 구분은 아니지만 네트워크 전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렇게 생각해본다. 그래서 이 부분은 보통 도식에서 구름 모양으로 표현한다. 물리적 실체가 없는 가상의 실체라는 것이다. 또한 CPU를 보통 Machine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앞에 Virtual이 붙으면 물리적인 CPU가 아니라 프로그램적으로 구현한 Machine임을 뜻한다고 이해하면 전반적인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된다.

 

 

 

 

참조

 

인프런: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기초, 널널한 개발자

https://www.inflearn.com/course/%EB%84%A4%ED%8A%B8%EC%9B%8C%ED%81%AC-%ED%95%B5%EC%8B%AC%EC%9D%B4%EB%A1%A0-%EA%B8%B0%EC%B4%88/dashboar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