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코딩/디코딩하는 이유
- 이메일, URL, JSON, XML과 같은 텍스트기반 프로토콜에서 이진 데이터(이미지, 파일, 암호화 키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Base64 특징
- Base64가 Base32 대비 길이가 짧아서 공간 절약이 됨.
- Base64는 숫자, 영문자 외에 +, / 기호도 사용하는데 URL 인코딩 등에서 사용 못할 수 있으므로 URL-safe Base64도 있음. +를 -로, /를 _로 변환함
Bas32 특징
-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으므로 소문자로 변환 가능!
예시 => email을 암호화, 인코딩 처리 후 DB에 삽입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복호화해야되는 상황. 로직상 소문자만 사용이 가능하다면 Base64에서 Base32 방식으로 변경하고 toLowerCase() 처리하면 됨
728x90
반응형
'Programming-[Base] > Basic of 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k] base64 인코딩, Basic Authentication (0) | 2023.09.26 |
---|---|
[TIL] URL % 인코딩과 python 처리 메시드(urllib-quote, unquote) (2) | 2023.02.20 |
정규표현식, 비밀번호 특수문자 포함(자바,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1) | 2021.01.19 |
Git 공부_2. 동작원리와 명령어 등 (Linux CLI) (0) | 2020.07.14 |
VS Code 자동완성, 단축키 모음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