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 기초 / Inheritance, Object - oriented (상속, 객체지향)
Inheritance(상속)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속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해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자체에 대한 이해나, execution context, this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정확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우선 class와 instance 등 객체지향방식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과 execution context, this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하므로, 아래 링크 글들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Javascript / Execution context, this - Javascript / 함수 / call, apply, bind 1. prototype과 상속의 개념 prototype은 '원형' 이라는 뜻으로, 어떤 함수의 속성 중 하..
Javascript / 배열, 객체 / 구조 분해 할당(destructing)
1. 구조분해할당(Destructing) 이란? Array 나 Object에 들어있는 값을 변수에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는 표현법이다. 2. 배열의 destructing 1. 배열의 각 값을 한 번에 선언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let arr = [1, 2, 3, 4, 5] //일반적인 방법 let a = 1 let b = 2 let c = 3 ... //destructing let [a, b, c, ...d] = arr a // 결과 : 1 b // 결과 : 2 c // 결과 : 3 d // 결과 : [4, 5] cs 2. 값의 교체, 무시하기(뛰어넘기) 1 2 3 4 5 6 7 8 9 10 let arr = [1, 2, 3, 4, 5] let [a, b]..
Javascript / 객체 / Property shorthand
Property Shorthand는 객체 안에 key와 value를 쓸 때, 이미 변수로 선언된 key에 대해서는 굳이 value를 정의해줄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key와 value값이 같을 때 이미 정의된 변수 값으로 value값을 지정해준다. 1234567891011let a = "b"let c = "d"let e = "f" //key값만 쓰기let couple = {a, c, e}couple // 결과: {a: "b", c: "d", e: "f"} //key와 value를 같은 값으로 쓰기let couple2 = {a:a, c:c, e:e}couple2 // 결과: {a: "b", c: "d", e: "f"}cs
Javascript / 함수 / call, apply의 활용 ( .map.call(.filter.call), Math-apply)
call, apply, bind의 기본 개념은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Javascript / 함수 / call, apply, bind Javascript / 함수 / call, apply, bind 1. call과 apply method 지난 this에 관한 글에서 일반적으로 this는 전역객체나 부모객체를 가리키는 반면, call, apply는 사용자가 정해주는 객체를 this로 취급한다는 것을 배웠다. (Javascript / Execution co.. whitepro.tistory.com 이번에는 call, apply를 적용하는 사례들을 알아보자. call, apply는 어떤 객체에 포함되어 있는 method를 간접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아래 두 가지 예시를 보자. 1. Math..